실비에 이어 보험 종류별로 간략히
중점적으로 고려할 사항 등을 설명해보겠습니다.
1. 자동차보험 일반
자차 보유시 법적으로 필수 가입 대상이나
세부 보장내역은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암보험 등 다른 보험도 마찬가지지만
보통 소비자들은 어떤 보험에 가입했다까지만
인지하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담보를 얼마만큼 보장받는지는
잘 모르고 있습니다.
보험은 언뜻 복잡해보이지만 특약 하나하나
확인해볼 필요가 있고
약관까지 확인해보면 가장 좋겠지만
그게 안되면 적어도 특약 하나하나 이름과 보장금액을 확인하고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자동차보험 대물배상
자동차보험에서 제가 생각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대물배상 부분입니다.
즉 본인 귀책으로 상대 차량 등에 손해가 발생했을때 얼마까지 보장받을 수 있냐는 것인데
생각보다 보장금액을 늘리는 것 만큼
보험료가 많이 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른보장은 모르겠고
대물배상은 최대치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10억 한도로 가입했고 이에 따른 보험료가 연 16만원 수준인데,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보장을 1억으로 줄인다고
보험료가 드라마틱하게 줄지는 않았습니다.
10억짜리 차가 흔하냐, 내가 사고안내면 되지라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만에하나 고가 스포츠카와 사고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닌데,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물 한도를 초과하면 온전히 자부담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1년에 몇만원 아끼려다 인생 꼬일 수가 있을 것입니다.
내가 사고 안내면 된다 라고 생각하더라도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100% 상대방 과실보다는
일부라도 내 책임이 인정되는데
고가 차량과 사고날 경우 내 귀책이 적더라도
보상해줘야 하는 금액은 더 클수도 있으니
"보험의 목적 : 패가망신 방지"를 잊지말고
1년에 몇만원 추가 부담으로
안정적인 인생을 살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3. 자동차보험- 자동차 상해/사망
저는 자동차 사망도 최대치 보장으로 가입했습니다.
이역시 대물배상과 비슷하게 보장금액을 높이는 만큼 보험료가 많이 오르지는 않고
자동차운전의 가장 큰 위험(본인사망)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적 위기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사실 일상생활에서 자동차 사고만큼
죽음이 가까운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비행기 사고야 만약 사고가 발생하면 사망이지만
발생 확률이 자동차 사고에 비해 현저히 떨어집니다.
일반적인 종신보험의 경우
사망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100%이므로
1천만원을 보장받기 위해 납입해야 하는 총 보험료는 1천만원 가까이 되기 마련입니다.
반면 자동차상해는 100%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보험료가 비싸지 않은반면,
일상생활 중 가장 위험한 자동차 사고를 보장해주는 것이니 저는 이 특약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4. 자동차보험-긴급견인서비스(확대)
그외에도 긴급견인 확대 특약도 추천합니다.
기본 견인서비스는 견인 거리가 짧아서
추가 견인 거리에 따른 자부담 비용이 발생하는데
거리를 확대시키는 특약이 있으면 부담이 많이 줄어듭니다.
이렇게 써놓으니 보험 가입이나 특약 확대를
종용하는 보험 설계사처럼 글을 쓴 것 같네요.
다만 저는 사회초년생들이 보험을 가입할때
일반적인 사항 외에 특별히 어떤 것을 추가로
감안하면 좋을지에 대해
제가 이미 고민했던 부분을 알려드리려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외의 제가 가입한 특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다른 보험에 대해서는 다른 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L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실전 재테크] 보험에 대해 (1) | 2024.01.14 |
---|---|
[사회초년생 실전 재테크] 글을 쓰는 이유 (0) | 2024.01.12 |
[재테크] 연금저축 운용전략-2 (1) | 2024.01.11 |
[재테크] 연금저축 운용 전략-1 (0) | 2024.01.06 |
[재테크] 자녀 증여 준비 (0) | 2024.01.01 |